양극과 음극 활물질에 대해서 원자 수준, 입자 수준, 그리고 전극수준에서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.
계산화학과 AI를 활용하여서 활물질/기능성전극소재/차세대 이차전지 기술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.
전해질 조건에 따른 다양한 이차전지 반응의 고도 분석과 전해질 소재 탐색 및 최적화 연구를 수행합니다.
기능성 재료들을 설계하고 성능을 면밀히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차세대 이차전지에 요구되는 새로운 에너지 저장소재와 시스템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합니다.
이차전지와 활물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인 설계 및 실질적인 공정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연구합니다.
Drag from side to side.
교수 | 연구 분야 | 교수 | 연구 분야 |
---|---|---|---|
이상민 | 활물질, 기능성 재료, 차세대전지, 전지설계/공정 | 박규영 | 활물질, 계산화학, 인공지능, 차세대전지 |
조창신 | 활물질, 기능성 재료, 차세대전지 | 이민아 | 전해질, 고안전 전지소재, 차세대전지, 전지설계/공정 |
홍지현 | 활물질, 전기화학, 고도분석, 차세대전지 | 김경덕 | 계산화학, 인공지능 |
허윤욱 | 활물질, 고도분석, 원자단위분석 | 김원배 | 전해질, 기능성 재료, 차세대전지 |
강병우 | 활물질, 계산화학, 차세대전지 | 김용태 | 활물질, 계산화학, 차세대전지 |
박수진 | 활물질, 기능성 재료, 차세대전지 | 박문정 | 고분자 전지소재, 유기소재 |
박선아 | 금속-유기 고분자 전지소재 | 최창혁 | 전기화학 고도분석, 원자단위분석 |
이기라 | 기능성 재료, 고분자 전지소재, 차세대전지 | 김연수 | 젤전해질, 고분자 전지소재 |
최시영 | 활물질, 고도분석, 원자단위분석 | 조현보 | 인공지능, 스마트 공정 |
한수희 | 전지 모델링, 인공지능 | 안지환 | 전극 원자층 코팅 공정, 차세대전지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