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구분야

이차전지

차세대전지

Next-generation Battery

차세대 이차전지는 기존의 리튬이온 이차 전지 성능 한계를 뛰어넘는 미래의 에너지저장시스템입니다. 차세대 이차전지는 리튬-전고체전지, 리튬-황 전지, 리튬-공기 전지와 같이 리튬 음극을 기반으로 양극 활물질은 기존 리튬이온전지에 사용되는 리튬금속산화물 전극소재, 유황전극, 탄소기반의 공기극 등으로 구성됩니다. 차세대 이차전지는 고에너지밀도 뿐만 아니라 고안전성, 저가격, 친환경 등 다양한 산업적 가치 구현을 위하여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습니다.

우리 친환경소재대학원에서는 리튬-전고체전지, 리튬-황 전지, 리튬-공기 전지 외에도 나트륨이온전지, 다가이온전지 등 차세대 친환경 이차전지에 대해서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. 차세대 이차전지에 요구되는 새로운 에너지 저장소재와 시스템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며, 미래의 새로운 이차전지 플랫폼을 주도하고 있습니다.

연구실 소개

  • Energy Materials Research Lab
    지도교수 박규영
    • 리튬 이차 전지 양극/음극 소재
    • 미래형 이차 전지 소재
  • Next Energy Storage Platform Research Lab
    지도교수 이상민
    • Next generation anode materials
    • Inorganic solid electrolyte for all solid battery
  • Advanced Materials for Energy & Environment Lab
    지도교수 강병우
    • 열역학 및 동역학을 중심 연구
    • 분석 이론,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실험
  • Advanced Energy and Catalysis Lab
    지도교수 김원배
    • 열역학 및 동역학을 중심 연구
    • 분석 이론,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실험
  • Electrode Material Property Lab
    지도교수 김용태
    • 열역학 및 동역학을 중심 연구
    • 분석 이론,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실험
  • Polymer-based Energy Materials Lab
    지도교수 박수진
    • 열역학 및 동역학을 중심 연구
    • 분석 이론,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실험
  • Sustainable Energy Chemistry Lab
    지도교수 이민아
    • Advanced battery materials and processing
    • Battery safety & sustainability solution
  • Innovative Energy Materials Lab
    지도교수 홍지현
    • 차세대 이차전지 전극 소재 설계 및 개발
    • 시/공간/화학 고분해 분석 기반 전지 반응 기구 연구